카테고리 없음

스미싱. 뜻과 문자 사례, 신고법

당근도둑 2024. 1. 19. 07:00

목차

    스미싱(Smishing). 뜻과 문자 사례, 신고법, 대처법.

    안녕하세요 당근도둑입니다~!
     
    재테크 신경 써가며 기껏 알뜰살뜰 돈을 모았는데, 사기로 잃어버리게 되면 정말 분노가 차오를 겁니다. 오늘은 유명한 사기 중 하나인 스미싱에 대해서 뜻, 사례, 예방법, 피해를 입었을 때 대처법까지 모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스미싱(Smishing)의 뜻

    스미싱은 문자메시지 SMS와 피싱 Phishing합성어로 문자나 SNS로 URL을 보내고, 해당 주소를 클릭한 사람의 스마트폰에 악성 코드를 유포하여 개인정보 등을 빼내는 금융사기입니다.

    2. 스미싱 대표 사례

    2.1. 택배 스미싱

    지난 해 설 연휴를 노린 택배 스미싱이 유행했습니다. 명절선물 배달을 가장하며 주소지 변경요청, 분실 보상 처리 등을 명목으로 메시지를 보내 클릭을 유도합니다. 아래의 사례는 배송 중이던 택배가 분실되었다며 URL을 클릭하면 보상을 도와주겠다고 합니다.

    택배 스미싱 문자 예시. 설 연휴 택배 분실을 보상해준다고 사기를 침

    당연히 URL을 클릭하면 안 됩니다. 그리고 만약 진짜로 택배가 분실되었다면 택배사에서 저런 식으로 안내문자를 보내지 않습니다. 온라인 주문시 발급된 송장번호를 인터넷에 검색해 보면 쉽게 진위여부를 알 수 있으니 속아 넘어가지 마세요. 올해에도 설, 추석 등 명절을 노린 택배 스미싱이 또 한번 등장할 수 있습니다.

     

    2.2 모바일 청첩장 스미싱. 일명 모청 스미싱 

    모바일 청첩장을 통한 스미싱 유형도 있습니다.

    모바일 청첩장 스미싱 예시. 카카오톡 대화방에서 모바일청첩장 링크를 거짓으로 보냄

    모르는 사람이 보내는 모바일 청첩장은 절대 클릭해서는 안 됩니다. 모바일 청첩장의 경우 보통 링크 하단에 대표 사진, 신랑 신부의 이름 정도는 같이 표기가 됩니다. 그런 썸네일이 없이 링크만 달랑 온 모바일 청첩장의 경우도 역시 클릭해서는 안 되겠습니다.

    2.3. 키프티콘,  모바일 쿠폰 스미싱

    기프티콘 스미싱

    이벤트 당첨, 모바일 쿠폰, 상품권, 기프티콘 등을 가장한 스미싱도 유명합니다. 출처가 불분명한 당첨 쿠폰등의 링크는 클릭하시면 안 됩니다. 해당 이벤트가 진짜라면 보통 관련 홈페이지에도 내용이 게재되어 있고, 이벤트에 대한 설명도 문자에 같이 포함되어 오기 마련입니다. 2차 3차 과정을 거쳐 반드시 확인하셔야 합니다.

     

    2.4. 그 외 스미싱의 종류

    수능이 끝난 학생을 노린 수능 합격 문자메시지, 수능 응원메시지 스미싱을 비롯하여 졸업 후 동창회를 가장하여 보내는 스미싱, 돌잔치, 경찰 출석 요구서, 교통범칙금 조회, 건강보험공단 무료 암 검진, 카드대금 조회 등 그 유형이 매우 다양합니다. 모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3. 스미싱 등 금융사기 예방법

    기본적인 원칙은 쉽습니다. 공공기관이나 금융회사를 사칭을 주의하고, 출처가 불분명한 파일과 이메일은 바로 삭제합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지연이체서비스, 입금계좌 지정 서비스, 단말기 지정 서비스와 같이 금융권에서 제공하고 있는 금융사기 예방서비스를 적극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각 서비스에 대한 내용은 별도의 포스팅에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4. 금융사기 피해 시 대처법

    4.1. 금융거래정보(계좌, 공인인증서의 비밀번호, 보안카드번호 등)가 노출된 경우, 또는 사기범에서 속아서 돈을 송금하거나 이체한 경우.

    금융회사 콜센터 또는 경찰청(112)으로 즉시 전화하여 계좌의 지급정지 요청 및 피해 신고 - 금융회사에서 피해금 환급제도 신청 - 아직 나의 피해금이 인출되지 않고 남아 있으면 소송 없이 되찾기 가능

     

    4.2. 통장과 체크카드, 계좌 비밀번호를 분실, 대여, 양도한 경우

    금융회사 콜센터로 즉시 전화하여 통장과 카드의 이용 정지 요청 - 모집책(불법 광고, 사람 등) 신고

     

    4.3. 신분증을 분실하여 개인정보(주민등록번호 등)가 노출된 경우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 명의도용방지서비스 가입 - 개인정보노출자 사고예방시스템 등록

     

    ::개인정보노출자 사고예방시스템::

     

    pd.fss.or.kr

     

    4.4. 금융사기 유관 기관 전화번호

    금융사기 신고 전화번호
지급정지 및 피해신고는 경찰청 112
피싱사이트 신고는 인터넷진흥원 118
피해상담 및 환급은 금융감독원 1332

     

     

    여러분, 금융 사기 조심하세요!